Bon Iver - Michicant 해석/ 가사/ 곡의 의미

2023. 3. 31. 22:17Bon Iver

반응형

 
Michicant
아티스트
Bon Iver
앨범
Bon Iver
발매일
1970.01.01

 

매끄러운 해석을 위한 의역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곡 제목은 미국의 주 'Michigan'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michigan에서 이제는 할 수 없는 일 (can't)을 합쳐서

Michicant라고 제목을 붙였는데, 이제는 더 이상 할 수 없는 것들에 관한 곡이라고 합니다.

[Verse 1]

I was unafraid, I was a boy, I was a tender age

난 두려울 게 없었어, 난 소년이었고, 어렸었지

Melic in the naked, knew a lake and drew the lofts for page

멜릭은 알몸으로 호수에서 수영하거나 다락방을 그리고는 했지

-Melic은 기원전 그리스 시의 형식을 뜻하는 말입니다. 시의 형식을 의인화하고 동시에

유년시절의 추억을 신격화해서 다시는 돌아갈 수 없는 시절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Hurdle all the waitings up, I know it wasn't wedded love, why?

대기하고 있는 수많은 장애물들, 난 사랑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걸 알아, 어째서?

Four long minutes end and it was over, it'd all be back

4분이라는 긴 시간이 지나고 전부 끝났지만 다시 돌아올 거라고 믿어

And the frost took up the eyes

그리고 눈보라가 내 눈을 덮었지

 

[Verse 2]

Pressed against the pane, could see the veins and there was poison out

창문에 바짝 붙은 상태로, 혈관에 독이 흐르는 것을 볼 수 있었어

- 무언가 잘못되어 가는 걸 숨어서 지켜보지만, 그걸 막을 힘은 없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Resting in a raze, the inner claims I hadn't breadth to shake

폐허 속에서 머무르면서, 마음속으로 난 그럴 힘이 없다고 생각했지

Searching for an inner clout, may not take another bout, why?

내면으로부터의 변화를 찾으면서, 또 다른 관계는 찾으려 하지 않겠지, 왜?

- clout는 손, 둔기로부터의 타격을 뜻하기도 하는데,

현재의 사고방식을 때려눕히고, 또 영향력을 찾고 있다는 이중적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Honey in the hale could fill the pales of loving less with vain

노년의 완숙함이 덧없고 하얗게 식어버린 사랑을 채울 수 있겠지

Hon', it wasn't yet the spring

아직 봄이 오지는 않은 듯해

- 이 곡에서는 관계를 계절에 비유하고 있습니다. 여름을 닮은 사랑은 급히 시작되어 급하게 끝났고, 시린 겨울이 찾아와

눈보라가 눈을 덮습니다. 그리고 아직 마음에는 봄이 오지 않았음을 표현합니다.

[Verse 3]

Aiming and it sunk and we were drunk and we had fleshed it out

목표했던 것은 이루지 못했고, 우리는 잔뜩 취하고 싸웠지

Nose up in the globes, you never know if you are passing out

술잔에 코를 박은 채로 의식을 잃는다면 넌 절대 모를 거야

No, it wasn't maiden-up, the falling or the faded luck, why? (Ooh, ooh)

이건 처음 있는 일이 아니야, 추락하거나 희미해진 운도 아니야, 어째서?

- maiden up을 made up으로 해석한다면 과거에 겪은 경험은 꾸며진 꿈이나 상상이 아니라

분명한 현실이고, 추락하여 희미해진 운은 상상이 아닌 현실이 됩니다.

-maiden-up은 항해에 쓰는 표현으로, 위의 구절 “Aiming and it sunk …”의 이미지에 맞춰져 사용되고 있습니다.

Hung up in the ivory, both were climbing for a finer cause

상아에 매달린 상태로, 우리는 더 나은 원인을 찾아 헤매고 있네

-상아탑은 속세 및 일상생활과의 단절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상아탑에 박혀서 무언가에 몰두하다가 현실로

돌아오게 되면, 천천히 내려와 현실을 깨닫는 게 아니라 한순간 추락하듯 현실을 깨닫게 됩니다.

Love can hardly leave the room

사랑은 쉬이 시작될 수 없네

- 오랫동안 웅크리고 있던 사람이 닫힌 문을 열고 나서기란 쉬운 일이 아닙니다.

With your heart

너의 마음과 함께